Page 16 - 육우자조금소식지 2025년 6월호
P. 16

육우 농가 탐방





         출하 시점도 영향을 미치겠군요.                                  “낙농업 구조 개편 없이 육우 산업 미래 없다”


         당연하죠. 우리는 25개월 전후로 출하합니다. 평균 850kg                 정책적으로 바라는 점이 있다면요?
         나와요. 물론 빠른 회전을 위해 22개월쯤 출하하는 농가도
         있지만, 너무 단기 출하하지 말고, 어느 정도 육질이 갖춰                   솔직히 말하면 어느 정권이든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존재감
         졌을 때 출하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봅니다. 급한 사정이 아                   이 없었어요. 게다가 축종 내에서도 육우는 한우에 가려져 있
         니라면 최소한 지육 중량을 58~60%까지 늘리는 게 중요합                  고요. 육우 사육두수가 줄어드는 건 결국 젖소 농가가 줄어들

         니다. 그러면 소비자들에게도 육우의 높은 퀄리티를 보여                     기 때문이죠. 우유 소비가 줄어도 생산 단가가 높아 우윳값은
         줄 수 있습니다. 육우가 단순히 싸다는 이미지를 벗어내기                    떨어지지 않고, 사료비는 계속 오르기만 합니다. 이 구조를
         위해서라도 퀄리티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바꾸지 않으면 육우 산업도 함께 줄어들 수밖에요.


                                                            끝으로 목표하신 바가 있다면요?
         “소비자 인식 바꾸려면 요리 콘텐츠가 답이다”
                                                            앞서 했듯이 좋은 송아지를 들여와서 지육 중량을 평균 60%
         육우자조금 활동도 꾸준히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거예요. 생산비는 계속 오르니, 결국 품
         참여하고 계신다고요?                                        질로 승부를 봐야죠. 사육두수도 조금 더 늘릴 계획입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육우를 단지 ‘저렴한 소고기’가 아닌, ‘품
         대의원을 맡은 지 8년 정도 됐습니다. 사실 자조금 예산이 한                 질 좋은 대안’으로 인식하게 만들 수 있도록 저부터 좋은 육
         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지만, 나름 요리대회나 홍보 콘텐츠                   우를 키워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모든 육우인 여러분도 한
         를 통해 열심히 알리고 있어요. 육우는 고급육 이미지가 어렵                  마음으로 동참해 주십시오. 고맙습니다.
         기 때문에 음식으로 접근하는 게 옳은 방향이라고 봅니다. 특                              / 무지개농장 : 경남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대로 2602-81
         히, 젊은 소비자 입맛에 맞게, 다양한 요리를 개발하는 게 가
         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료업계의 동향은 어떤가요?


         농가와 공생관계니까 축산업이 힘들어지면 사료업계도 힘들
         어집니다. 힘들다는 건 돈이 안 된다는 거죠. 돈이 되려면 생
         산단가 낮춰야 하다 보니 양돈이나 양계 업계도 어느 정도 규
         모가 되면 직접 사료를 만듭니다. 요즘 돌아다녀 보면 TMR
         공장이 많이 생겼고, 자기 농장에서 자가로 생산하는 농장도
         많아요. 이러다 보니 배합사료 회사들은 계속 줄어드는 추세

         입니다.
         TMR을 하려면 조사료 등을 구매해서 직접 만들어야 하는데,
         노동력은 많이 들어도 생산비는 줄어듭니다. 배합사료보다
         출하 기간이 늦어지는 단점도 있으나 대신 수익을 더 낼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16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