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육우자조금소식지
P. 17
육우 농가 탐방
우의 장점이 더 큰 것 같습니다. 육우는 회전이 빠르니까 농 면 따로 홍보하지 않아도 판매가 활성화될 것입니다.
가 경제에 도움이 되고, 한우에 비해 송아지 가격도 저렴해서
부담이 적다는 이점이 있죠. 정책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2세 경영을 일찍 시작하신 이유가 있나요? 수도작 농가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지원이 이뤄집니다. 못
자리 상토나 비료, 농약 등 다양한 지원을 하죠. 농업인 수
아들과 함께 소를 키운 지 어언 20년이 넘었습니다. 당시 당도 그렇고요. 반면 우리 축산인에게는 이렇다 할 지원이
축협 조합장 선거에 도전했는데, 혹여 당선되면 농장 운영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도 결국은 파워가 수도작 농가에 비
에 신경을 쓸 수가 없어서 사전에 아들에게 농장 운영을 제 해 적기 때문이겠지요. 상대적으로 목소리가 작으니, 지원
안했죠. 그런데 아쉽게 낙선하고 말았어요. 비록 선거는 졌 도 적은 것이겠죠. 물론, 그나마 요즘은 많이 나아진 거예
지만, 결과적으로 아들을 얻은 셈이죠. 처음엔 이견도 많았 요. 그럼에도 수도작 농가와 비교하면 열악하죠. 사료 가격
지만, 지금은 일절 관여하지 않고, 아들이 도맡아서 관리합 이 올라도 누구 하나 이렇다 할 뾰족한 방법을 내놓지 못합
니다. 이제 우리 세대는 젊은이들에게 맡길 때가 됐고, 실 니다. 이런 면에서 우리 축산인을 위한 정책이 더 보완되는
제 그들이 잘 이끌어 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게 합당할 것입니다.
축산업의 비전을 어떻게 보시나요? 끝으로 바람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우리나라에서 축산이 차지하는 규모는 결코 수도작에 뒤지 현재 아들에게 잘하고 있으니까 특별히 바라는 건 없어요. 조
지 않습니다. 수익 면에서는 더 유리하고요. 그 이유는 겨울 금 욕심을 내자면 농장을 좀 더 확장해서 1,000두로 늘리는
이 있는 우리나라에서 논밭의 활용률은 1년 중 6개월에 불과 건데 결정은 아들 몫이죠. 육우를 얼마나 키우는지도 중요하
합니다. 반면 축사는 1년 열두 달 활용하다 보니 논・밭농사 지만, 어떻게 키울 것인가가 더 중요합니다. 모든 과정을 체
에 비해 소득이 높죠. 축산업이 그나마 수도작에 비해 후계자 계적으로 관리하고, 더 양질의 육우를 출하하는 게 핵심입니
가 많은 이유입니다. 축산업에 종사하는 젊은 분들이 성실하 다. 규모가 큰 농장은 인부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어떻게 관
게만 일한다면 얼마든지 농촌에서의 삶에 비전을 가질 수 있 리하고 경영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주인이 더 세
다고 봅니다. 밀히 살피고, 주인이 주인답게 일해야 농장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더운 날씨에 육우 농가와 우리 육우자조
육우 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요? 금관리위원회 가족 모두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 강원도 철원군 동성읍 골말길 14-4
이제 육우는 국민 누구나 알 만큼 어느 정도 홍보가 이뤄진
것 같아요. 중요한 건 눈에 보여야 사 먹는다는 사실입니
다. 개인 정육점들이 육우를 팔다가 얼마 가지 않아 판매를
중단하는 이유는 결국은 수익이 되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하나로마트 같은 곳에 입점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이러한 유통망을 확보하는 게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개인적으로 축협 관계자들을 만나서 육우를 취급해달라고 했
더니 변명을 늘어놓더라고요. 그 가운데 하나가 한우 농가의
파워가 너무 세다는 거예요. 하지만 그러한 벽을 넘을 수 있
도록 우리가 끊임없이 노력해야겠죠. 유통만 제대로 이뤄지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