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육우자조금소식지
P. 7
육우 Column
기준을 충분히 맞출 수 있으므로 농장단계에서의 철저한 관
리가 필수입니다. 최근에는 과도한 항생제 사용으로 인해
항생제 내성균이 증가하고 있으며, WHO에 따르면 2050년
에는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한 사망자가 암 사망자보다 많아
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안타깝
게도 축산업의 항생제 사용량은 세계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사육 환경과 예방 중심의
질병 관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도축, 가공, 유통, 판매단계의 축산물
안전관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앞으로는 농장단계의 관리
강화를 중점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동물용의약품의 적
정 사용, 잔류물질 저감, 항생제 내성 저감, 주삿바늘 관리,
가축 체표면의 위생관리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안전관리체
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국민이 신뢰하는 축산물 생산과 유통은 정부의 노력만으로
는 부족합니다. 생산부터 가공·판매까지 모든 주체가 책임
감을 가지고 참여할 때 비로소 완성됩니다. 특히, 축산물 안
전관리의 출발점인 생산단계에서 모든 농장주가 가축을 정
성껏 돌보고, 건강한 가축들이 활기차게 뛰노는 풍경이 일
상화되기를 기대합니다.
7